세계를 휩쓴 인공지능 열풍을 타고 가장 높이 날아오른 건 미국의 엔비디아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에만 무려 600억 달러 매출을 올리며 예상을 훌쩍 뛰어넘는 실적을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[젠슨 황 / 엔비디아 CEO : 우리는 지금 인공지능이라는 새로운 산업혁명의 시작점에 서 있습니다. 두 가지 전환을 동시에 경험하는 전례 없는 일입니다.] <br /> <br />'생성형 AI'의 막대한 정보량 처리에 필요한 그래픽카드를 사실상 독점 공급하고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이 그래픽카드에 들어가는 고대역폭 메모리, HBM을 생산하는 우리 반도체 기업에도 낙수 효과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일찌감치 개발에 뛰어들어 엔비디아 물량을 선제 확보한 SK하이닉스와 후발주자인 삼성전자가 시장을 양분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삼성전자가 5세대 HBM을 발표하며 기술경쟁 2막에 신호탄을 쏘아 올렸습니다. <br /> <br />경쟁 업체보다 발표 속도는 상대적으로 늦었지만, 더 많은 D램을 쌓아 올려 업계 최대 용량을 구현한 겁니다. <br /> <br />SK하이닉스도 지난 1월 초기 양산을 시작한 5세대 HBM을 조만간 본격적으로 대량 생산하며 시장 수성에 나섭니다. <br /> <br />[김양팽 /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 : 첨단 패키징이 필요해지고 그런 고도의 기술력이 필요해지는 거죠. 고객사와의 관계 그리고 그 고객사가 필요로 하는 성능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이 더 중요할 수도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미국 마이크론은 지난해 발표한 8단 HBM을 세계 최초로 대량 생산하며 추격 의지를 불태우고 있지만, 상대적으로 부족한 생산역량이 약점입니다. <br /> <br />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할 정도로 빠르게 성장하는 HBM 시장의 주도권을 차지하기 위한 경쟁은 더 치열해질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태민입니다. <br /> <br />영상편집ㅣ오훤슬기 <br />그래픽ㅣ지경윤 <br />자막뉴스ㅣ이 선 <br /> <br />#YTN자막뉴스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0305120014260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